chap 18 Introduction to Network Layer
라우터는 뭔 일을 할까? 라고 생각하면 쉬움
전반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음
- 트랜스포트 레이어에서 데이터그램 만들고
- 네트워크 레이어에서 데이터그램에 헤더를 더해서 패킷 만들고 최선의 경로를 찾음
- 데이터링크 레이어에서 frame 만들고 알로하 뭐 어쩌구 해서
- 피지컬 레이어에서 전송
목차 :
- network - layer services
- packet switching
- network layer performance
- ipv4 addresses
- forwarding of ip packets
[network layer services]
- packetizing : 헤더를 붙임
- routing : destination 루트 중 최선의 루트를 찾음
- forwarding : routing 테이블을 기반으로 라우터가 액션을 취함
[packet switching]
- Datagram approach : connectionless Service
패킷 전송에만 중점을 둠. 1234 이렇게 패킷 전송해도 4132 이렇게 receiver가 받을 수 있음, “Destination addr만 보고 (DA헤더)” 어디로 나갈지를 결정함
- Virtual circuit approach : connection-oriented service
가상회선으로 하나의 라인만 만들고 vci를 기반으로 출력을 정함
VCA는 3단계로 구성됨
- setup phase : request packet 보내서 테이블링
- data transfer phase : 데이터그램 만들어서 전송함 근데 이제 label 보면서 어떤 가상회선으로 보내야 할지 결정을 함, 그럼 데이터그램 vci 헤더가 바뀌겠지
- 이후 회선 삭제
[Network layer performance]
딜레이
- transmission delay : 첫 비트를 보내는 시점과 마지막 비트를 보내는 시점을 전송률로 나눔
- propagation delay : 선을 따라 패킷이 이동할 때 걸리는 시간 , 거리 / 속도
- Processing delay : vci 분석 처럼 패킷 프로세싱에 걸리는 시간
- queuing delay : 먼저 온 패킷이 나중에 나감 queue 처럼 동작하니까 그 기다리는 시간을 나타냄
throughput : 최악의 상황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 전송 용량 이런 느낌
packet loss : 패킷 몰려서 큐가 가득 차면 발생하는 loss
[ipv4 addresses]
ip주소는 두 부분으로 나뉘는데 n비트는 prefix 32-n은 suffix
prefix : network를 가르킴 (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느냐? 이걸 확인할 때 쓰임)
suffix : host를 나타냄
sub-netmask :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인지
** 주소 몇 개냐? mask -> not(mask) +1
*** first address = address AND mask
**** last address = address OR not(mask)
DHCP : ip주소를 자동으로 부여함(ppt 테이블링 작업 볼것)
[Network Address Resolution (NAT)]
이건 걍 ppt 전부 보는게 맞아
[Forwarding Based on Destination Address(Connectionless)]
이것도 그냥 ppt를 보면서 마스킹 하는거 전부 ppt를 좀 보자.
'컴퓨터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ap 17 connection Devices and virtual LANs (2) | 2024.10.11 |
---|